지나친 스마트폰 사용이 만드는 후천적 내사시
상태바
지나친 스마트폰 사용이 만드는 후천적 내사시
  • 박소연
  • 승인 2022.01.04 16: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소아기가 지난 청소년기에서도 눈동자가 안쪽으로 몰리는 후천적 내사시가 늘고 있다. 방치하면 시력저하, 복시, 거리감, 입체감, 인지력 저하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방을 위해서는 어린 나이부터 스마트폰 시청시간을 관리하고 스마트폰 시청에 대한 올바른 습관을 길러줘야 한다.

사시는 두 눈이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증상인데, 전체 사시 환자 수의 절반가량이 9세 이하 아동에서 발생할 만큼 소아기에 주로 나타난다. 사시의 종류는 눈동자의 위치에 따라 크게 내사시, 외사시, 상사시, 하사시 등으로 분류한다. 이중 내사시는 눈동자가 안쪽으로 몰리는 것을 말한다. 우리 눈은 가까이 있는 것을 볼 때 물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한 조절작용과 눈을 모으는 폭주작용을 동시에 한다. 따라서, 과도한 근거리 작업을 하면 눈 안쪽 근육인 내직근이 강화되면서 눈동자가 안쪽으로 쏠리는 내사시가 유발될 수 있다.

 

스마트폰에 의한 내사시는 충분히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가까이 두고 사용할수록 사시 발생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최소30cm 이상의 간격을 두고 사용해야 하며, 일일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4시간으로 제한하는 것을 권장한다. 또 40분 스마트폰 사용 후 10분 주기로 휴식을 취하고, 휴식시간에는 창밖 등 먼 곳을 바라보며 눈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어린 나이부터 바람직한 스마트폰 시청 습관을 들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취학 아동은 일일 전자미디어 노출 시간을 1시간 이하로 제한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또, 청소년기 자녀를 둔 학부모는 전자기기 사용이 자녀의 수면, 식사, 운동 등의 시간을 침범하지 않도록 지도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줄이면 회복이 되지만, 근본적인 예방을 위해서는 보호자가 어릴 때부터 자녀의 올바른 시청 습관을 길러주어야 한다.

 

 

기사출처: MD저널(발췌 후 재구성)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