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처럼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시기에는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아 피로가 극도로 쌓여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세균에 쉽게 감염된다. 방광염은 남성보다 여성 환자가 더 많은 질환으로 알려져 있는데 여성은 신체 구조상 남성보다 요도가 짧아 세균의 침입이 쉽고, 장내 세균도 질 입구에서 증식이 잘 되는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여성은 성관계 시 요도가 자극받을 때 세균이 방광으로 침투할 가능성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유난히 화장실에 자주 가고 싶거나 갔다 와도 개운하지 않다면 방광염을 의심할 수 있다. 또 소변을 볼 때 통증이 있거나 소변을 참기 어렵고 소변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는 경우도 이에 해당한다. 아랫배나 허리 등 하복부가 아프고 엉덩이 윗부분에서 통증이 발생하기도 하며 심한 경우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올 수도 있다.
일시적으로 발생한 급성 방광염이라면 조기에 약물 치료만 잘 받아도 쉽게 나을 수 있다. 하지만 방광염 증상이 나타나도 방치하거나 임의로 치료를 중단하고 계속해서 과로한다면 병이 만성으로 진행되기 쉽다. 만약 방광염을 방치하면 신장까지 감염이 진행돼 신우신염을 초래할 수도 있다. 방광염은 증상이 조금 나아졌다고 해서 치료를 중단하면 재발이 되기 쉬운데, 1년에 3회 이상 방광염으로 고생한다면 만성 방광염으로 본다.
만성 방광염의 경우에는 급성 방광염의 상태에서 회복되는 속도가 느리고 항생제 복용으로도 증상개선이 되지 않은 경우도 많기 때문에 염증으로 인해 손상된 조직을 정상적으로 회복하는데 도움을 주어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시키고 스스로의 면역기능을 향상시켜 감염의 재발을 막는 치료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생활관리 또한 급성 방광염과는 달리 만성 방광염은 방광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억지로 물을 많이 마셔서 방광에 무리를 주는 상황을 반복하는 것은 피하는 게 좋다. 무엇보다 평소에 소변을 참지 말고, 과로와 과음 등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생활을 피하는 게 방광염 발생을 막는 최선의 방법이다.
기사출처: MD저널(발췌 후 재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