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시판 음료 한 병의 평균 당류 함량이 21g으로, 한 병만 마셔도 하루 당류 섭취 제한량(25g 이내)의 84%를 채우는 것으로 밝혀졌다.
탄산음료는 pH(수소이온농도)가 2.0으로 치아침식 가능성이 매우 높은 음료, 과ㆍ채음료, 혼합음료, 과ㆍ채주스는 pH가 3.1∼3.7로 치아침식 가능성이 있는 음료로 추정됐다.
시판 음료의 100㎖당 평균 열량은 43.1㎉였다. 이중 열량이 가장 높은 것은 유(乳)음료(85.8㎉). 시판 음료의 평균 나트륨 함량은 100㎖당 16.8㎎이었다. 평균 나트륨 함량에서도 유음료가 100㎖당 49.2㎎으로 최고치를 보였다. 유음료는 단백질ㆍ지방 함량도 다른 음료에 비해 높아 에너지 공급원으론 추천할 만한 음료이다.
시판 음료 1병(또는 캔)당 평균 당류(설탕 등 단순당) 함량은 21.0g(0∼45g)이었다. 1회 제공량(1병)당 당류 함량이 가장 높은 음료는 유음료(26.6g). 다음은 탄산음료(25.0g), 과ㆍ채음료(21.5g), 과ㆍ채주스(20.0g), 혼합음료(17.3g), 액상커피(13.7g), 액상차(13.0g) 순이었다.
하루 총칼로리 섭취량의 5% 이내(25g)를 당류에서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를 기준으로 하면 유음료나 탄산음료를 1병 마시면 WHO의 하루 당류 섭취 제한량을 초과하는 셈이다.
시판 음료의 평균 pH(수소이온농도, 수치가 낮을수록 산성이 강함)는 3.9로 산성을 나타냈다. 음료를 마실 때 치아표면과 접촉하는 음료의 낮은 pH는 치아침식증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pH가 3.0 미만이면 치아침식 가능성이 매우 높은 음료, pH가 3.0∼3.99이면 치아침식 가능성이 있는 음료로 평가된다.
탄산음료의 pH는 2.0으로 치아침식 가능성이 매우 높은 음료로 확인됐다. 과ㆍ채음료(pH 3.1), 혼합음료(pH 3.6), 과ㆍ채주스(pH 3.7)도 치아침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료를 마시는 동안 음료가 치아표면에 접촉하는 시간은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음료가 치아침식에 치명적인 요인이라곤 할 수 없지만 음료의 섭취량이 많고 섭취빈도가 잦은 것은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치아우식증(충치)ㆍ치아침식증의 유발 요인 중 하나로 밝혀졌다.
기사출처: MD저널(발췌 후 재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