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으로 인해 생긴 증상들
상태바
스마트폰으로 인해 생긴 증상들
  • 박소연
  • 승인 2021.09.06 17: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스마트폰 게임 열풍으로 길거리에서 핸드폰을 뚫어져라 쳐다보는 사람들이 부쩍 많아졌다. 게임뿐 아니다. 영상 시청, 메신저 사용, 실시간 뉴스 확인 등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스마트폰 밀착형 생활을 즐기는 것이 현대인의 흔한 모습이다. 이처럼 일상생활 속에서 습관적으로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 자신도 모르는 사이 눈과 목에 피로감과 뻐근한 통증을 느끼기 쉽다.

 

스마트폰고개숙임, 아차! 하면 목과 어깨, 등, 뒷머리까지 뻐근해지는일자목 유발

 

일반적으로 장시간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있으면 정상적인 경추만곡인 'C자'형 커브가 제대로 되지 않아 '일자목증후군'이 유발되기 쉽다. 대부분 PC나 스마트폰 등 작은 화면에 집중하며 자신도 모르게 고개를 숙이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남녀노소 구분 없이 척추 건강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

 

일자목은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나 통증이 느껴지지 않지만, 갑자기 목과 어깨가 뻣뻣해지고 목에 있는 신경이나 관절, 근육 등의 이상으로 두통이나 어지럼증이 유발될 수 있다. 일자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꾸준한 스트레칭과 함께 증상을 유발하는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줄이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사용 빈도를 줄이기 힘들다면, 사용 시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스마트폰화면을 눈높이에 맞추고 특히 구부정한 자세나 엎드려서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목이나 허리에 뻐근한 통증이 느껴진다면 사용을 멈추고, 목을 뒤로 젖히는 자세로 목 긴장을 풀어주는 등 간단한 스트레칭을 통해 일자목과 목디스크를 예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스마트폰 보다 눈 깜박임 현저히 줄어, 눈 뻑뻑함과 이물감 느끼는 안구건조증 유발

스마트폰이나 PC를 많이 사용하는 이들은 안구건조증에도 취약하다. 특히 크기가 작은 스마트폰화면을 바라본 채 장시간 집중할 경우,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평소 일상생활 대비 절반으로 줄어든다. 이는 안구가 쉽게 건조해지는 환경을 만들고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안구건조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안구건조증은 눈에 염증이 생기는 각막염, 결막염의 원인 중 하나로, 눈이 뻑뻑하고 이물감이 느껴지며 안구 표면에 충혈이 나타나는 것이 증상이다.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1시간당 최소 10분은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고 눈을 쉬게 해주어야 한다. 또한 4초에 한 번씩 눈을 깜빡이는 '눈 깜빡임 운동' 과먼 거리에 있는 창문 밖 풍경과 가까이 있는 손가락을 10초씩 번갈아 보는 '원근 운동'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같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간단한 실천과 함께 비타민 점안액을 꾸준히 활용하는 것도 눈 건강에 도움이 된다. 비타민 점안액은 눈 건강에 효과적인 비타민A를 함유하고 있어 눈곱이 많은 상태에서 침침한 눈, 혈관이 팽창된 눈 충혈 그리고 눈 피로감을 해소하는 데 효과가 있다.

 

 

기사출처: MD저널(발췌 후 재구성)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