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바닥이 찌릿찌릿 하고 손가락 마비까지 오는 손목터널증후군. 손목터널증후군 환자 수는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우선 손목터널증후군은 현대인의 병으로 잘 알려져 있다. 컴퓨터 자판이나 스마트폰의 오랜 사용으로 인한 과도한 손목 피로가 그 원인 중 하나로 꼽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손목터널증후군 환자 대부분은 주부층인 중년 여성이다. 실제 손목터널증후군으로 병원을 찾은 전체 환자 10명중 7명인 71%가 40대 이상 여성이다.
또한 손목터널증후군 환자는 도시 지역보다 농촌 지역일수록 더 많다. 심평원 손목터널증후군 환자 수 분석 결과 인구 1000명 당 손목터널증후군 환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대구(4.96명) ▲전남(4.37명) ▲전북(4.03명) 순이었다. 전국 평균인 3.2명보다 한 명 가량 더 많다. 반면 도시 인구가 밀접한 수도권(서울: 2.9명, 경기: 2.67명)은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손목터널증후군이 발병하는 정확한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진 것은 없다. 다만 반복된 손 동작과 무리한 손목 사용, 손목 골절, 감염 등이 그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손목에는 팔과 손을 연결해주는 힘줄과 손가락 감각을 주관하는 정중신경이 지나가는데 힘줄과 정중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일종의 손목터널인 셈이다. 이 손목터널은 인대로 둘러싸여 있다. 청소, 설거지 같은 집안일로 인해 손목 근육이 뭉치거나 인대가 두꺼워지면, 터널 안의 정중신경을 눌러 손 저림 등의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손목터널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은 손이 무감각해지고 손을 꽉 쥐려고 하면 때때로 타는 듯한 통증이 나타난다. 더욱 심해지면 악력이 떨어져 물건을 세게 잡지 못하거나 손의 감각마저 느껴지지 않는다. 또 바느질처럼 정교한 동작을 하기도 어려워진다.
따라서 예방을 위해서는 손목 사용을 줄이거나 반복적인 손목 스트레칭, 온찜찔 등을 해주는 것이 좋다. 손목 보호대를 착용해 부담을 줄여주고 중간중간 손목 스트레칭으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손이 계속 저린 다면 따뜻한 물에 5~10분 동안 담가 쥐었다 폈다를 반복하는 것도 좋다.
기사출처: MD저널(발췌 후 재구성)